"SNS, 의외로 배타성 강하다"의 기사를 보고 조영수님이 작성한 글
소통이란 직접 댓글로 말하고 그러는 것이라면,.. 정말 하기 힘들어요.
그러나 눈팅을 포함한 광의의 소통을 말한다면, 나름 된다고 봅니다만.
평상시 잘 알 수 없었던 그들의 생각을 들여다 볼 수 있어서,
말씀 하신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것이 염려스러우나,
서로를 깊게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지요.
배설, 분노의 장으로서도 내심 치유적 효과를 기대하기도 하고!
싸이월드, 네이버 블로그를 비롯 이런 저런 SNS를 접했긴 하지만...2000년대 후반에 우리나라에 소개된 트위터, 페이스북만큼 자발적이면서도 영향력 있는 SNS를 본 적은 많지 않았던 것 같다.
2009년, IT를 좋아하는 분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흘러갔던 트위터는 2009년 후반부터 기업체들이 몰려들고 2010년부터 언론계와 유명인들이 몰리면서 수 많은 이슈가 이야기되는 소셜미디어로 등장했다.
이와 달리 페이스북은 지인들, 혹은 지인의 지인을 중심으로 좀 더 편하면서도 많은 글, 그림을 남길 수 있는 여지를 마련했다. 특히, 페이스북은 싸이월드의 미니홈피(담벼락), 클럽과도 유사해서 짧은 글 남기기와 끊임 없는 친추(팔로잉)을 해야했던 트위터에 비해 접근성이 좋아 인기가 상당하다. 싸이월드의 개인정보 유출 이후에 국내 페이스북은 많은 유입이 이뤄지게 된다.
사람들이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몰리다보니 이런 저런 움직임이 일어나고, 이러한 움직임이 현실세계에도 영향을 미치다보니 SNS에 대해 살펴보고 싶어하는 움직임도 덩달아 움직인 것 같다.
"SNS, 의외로 베타성이 강하다"는 기사는 한국경제 기사로 SK마케팅앤컴퍼니 커뮤니케이션사업 부문과 김용찬 연세대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팀이 공동으로 조사하고 발표한 ‘트렌드 트레인(Ttend Train)’ 제2편(부제:뉴미디어시대, 나 그리고 우리) 자료를 토대로 작성되었다(해당 자료는 연 1회 발행하는 뉴미디어 분석 보고서라고 한다).
기사 내용을 살펴보면 이 보고서에서는 "20세부터 49세까지 SNS를 사용하는 1,5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8월부터 2달 동안 대면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했다고 한다. 대면 인터뷰에서는 SNS 친구와 본인이 연령대, 교육수준, 가치관 등이 얼마나 유사한지, SNS에서 어떤 성격의 의견을 듣는지, 정치·사회 분야 이슈에 대한 관심사, SNS하면 떠오르는 서비스, 기업의 SNS 활동에 대해 호감 등을 살펴본 것 같다.
해당 기사의 결론에서 SK마케팅앤컴퍼니 관계자의 말을 빌려 "유유상종 → 결과적으로 사회의식의 양극화 심화"로 연결시켰다.
허나 내 생각은 다르다. SNS에서 유유상종은 당연한 편이다. 친추를 맺거나 "좋아요"를 누르는 것도 자신과 나름 코드가 맞거나 유사해야 나올 수 있다. (물론 유명인 혹은 유명단체/업체들의 글에 친추가 많이 몰리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이 부분은 다르게 봐야 할 부분이다. SNS에서도 유명세는 다소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자발적인 움직임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공감이 필요한데, 이 부분에는 논리 뿐 아니라 감성적인 면에 있어서도 나름 유사한 면이 있어야 움직이기 마련이다.
다만, 타인의 의견에 조금이라도 공감하려는 노력을 하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는 분명 차이가 있다. 타인의 의견에 조금이라도 공감하려는 노력을 하는 이는 내 생각과 좀 다를 수 있겠지만, 상대방을 존중하면서 내 의견을 펼칠 수 있다. 설사 적극적인 표시를 하지 않더라도 글을 외면하지 않고 읽는 경우가 존재한다.
반면 그렇지 않은 이는 사사껀껀 간섭하고, 상대방의 의견에 계속 충돌을 일으킨다. 이런 경우에는 말 그대로 불통이라고 할 만큼 답답함이 느껴진다. 서로의 신념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감정이 격화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보통 이런 모습은 정치, 종교, 특정 브랜드/유명인 등에 대한 선호차이로 부딪히는 경우가 많다. 굳이 SNS라고 이야기하지 않더라도 다음 아고라, 포털뉴스의 댓글 등지를 살펴보면 어렵지 않게 실제 예를 살펴볼 수 있다.
사사껀껀 충돌하고 간섭하는 경우엔 오히려 해당 SNS를 쓰는 게 불편해진다. 따라서 해당 SNS를 쓰는 사람을 차단하거나 친추를 하지 않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SNS를 비롯한 인터넷을 쓰는 이유 중 하나는 휴식, 즐거움을 위한 요소가 강하다. 굳이 충돌이 잦은 유저와 계속 부딪힐 필요가 없다. 괜히 시달리면 그쪽에 에너지를 쏟느냐 평소의 삶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신문의 기사에서 이야기하고 싶은 건 "유유상종 → 결과적으로 사회의식의 양극화 심화"로 연결되는 SNS의 폐해, 약점, 부작용 부각이라고 생각한다. 해당 신문은 보수 언론이라고 볼 수 있는데... 보수 언론이 그 동안 잘 끌어갔던 이슈메이킹을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매체에 점점 뺏기게 되면서 안 좋게 보는 시선이 점점 늘어가기 시작했다. 아울러 SNS의 주요 흐름이 사실상 진보진영 중심으로 흐르는 모양새를 보이다보니 "사회 통합은 글쎄?"와 같은 느낌을 줌으로써 속좁은 인상을 주려는 의도가 다분히 엿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년부터 불고 있는 팟캐스트 등과의 결합을 통해 무시하기 어렵다는 건 분명 느끼고 있을 것이다. 오죽하면 모 정당에선 감동인물찾기를 SNS를 활용하여 홍보하려고 난리이고, 트위터지수를 평가요소에 넣을 정도다.
끼리끼리의 문화가 없는 건 아니지만 그렇게 치부하기엔 트위터, 페이스북을 비롯한 SNS의 영향력은 몇 년 전에 비해 많이 커진 느낌이다. 조사라는 게 어떤 대상을 대상으로 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는 만큼 소셜미디어와 SNS를 이해하고 있는 업체에서 조사를 해본다면 어떤 이야기가 나올 수 있을까 궁금하기도 하다.
--------------
해당 글은 제 페이스북의 노트에 지난 1월에 남긴 글을 다소 보완하여 남긴 글임을 밝힙니다.
--------------
해당 글은 제 페이스북의 노트에 지난 1월에 남긴 글을 다소 보완하여 남긴 글임을 밝힙니다.
'세상을 바라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과 지방의 지역 격차에 대한 단상 (0) | 2013.06.24 |
---|---|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버디버디 (0) | 2012.04.18 |
투표를 하든 안 하든 그에 따른 책임과 결과는 피하기 어렵다. (0) | 2011.10.22 |
김범수씨의 "악착같이 살지마라"는 조언에 우리는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0) | 2011.10.20 |
선거철마다 등장하는 병역, 학력, 재산논란을 바라보며... (0) | 2011.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