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거운 교육/전문계(실업계) 이야기

세상에 절망과 분노의 삶을 이야기한 공고 학생들의 이야기를 보고...

실업계 고교생들 시로 쓴 절망과 분노 (경향신문 2011.10.3)
 


(내일도 담임은 울 삘이다. 나라말, 2011. 사진출처는 ⓒ알라딘)



10월 3일에 올라와서 미디어 다음 등지에서 많이들 보았을 기사다.
이 신문기사에서는 차별과 무시의 대상을 살리기 위해 "실업계"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최근엔 "전문계" → "특성화"로 부르는 명칭이 바뀌긴 했다.
하지만 일반 사람들은 여전히 "실업계"라는 표현이 더 익숙할 정도로
"특성화"고교에 대한 일반인들의 생각은 1980~90년대의 인식에서 크게 변하지는 않은 모양새이다.

현 대통령을 포함해서 특성화고교를 나온 유명인사는 상당한 편이다.
70~80년대만해도 유명 실업계고교(당시 표현)을 나오면 은행 등 괜찮은 일자리에 들어가기 수월했고,
직장에 들어간 후에 대학의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하면 승진의 기회 역시 찾아올 수 있었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대학과 대학 정원이 늘면서
고교 졸업자들이 일할 수 있는 터전을 점점 대졸자(전문대 졸업자 포함)에게 잠식당하기 시작했고,
실업계고교 졸업자에 대한 사회의 인식은
공부 못하는 학생이 어떻게든 기술을 익혀서 일하는 정도로 바라보게 되었다.
실업계고교에 대한 인식은 1980~90년대 산업의 변화와 흐름에 뒤쳐지는 학교의 현실 속에서 "퇴물"과 같은 인식을 주었고,
이들은 어떻게든 대학 진학을 통한 인생 역전에 더 관심을 두게 되었다.

점점 사라져가는 실업계고교에 불씨를 지핀건 고려대, 연세대 등 유명 대학에 정원외로 진학할 수 있는
실업계특별전형이 확대가 되면서 성적이 괜찮은 학생들이 몰린 2000년대 초반대라고 보면 될게다.
그 이후에 대학 진학을 노리고 실업계고교로 진학하는 사례가 이뤄졌고,
선린인터넷고, 한국디지털미디어고 등 기존에 있거나 혹은 없었던 고교가 새로이 특성화고교로 지정되면서
유명 고교를 중심으로 성적이 좋은 학생들이 몰리고 대학진학에 있어서도 상당한 지분을 차지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 취업을 고려하고 있는 학생들에겐 괜찮은 일자리은 잘 주어지지 않았다.
자신감은 점점 잃어가고, 미래가 잘 보이지 않았다.
해당 기사에 나오는 교사는 2008년에 해당 전문계고교(서울의 모 공업계고교라고 한다)에 부임해서
진학률이 낮고 중도 포기가 적잖은 학교 현장을 보면서
학생들에게 시를 쓰면서 학생들의 고통을 이야기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주었다.

시의 내용을 보면 어떤 이는 싸이월드 다이어리에나 올릴 법한 내용이라며 비난하기도 한다.
어떤 이는 이런 시라면 나도 금방 쓰겠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들이 남긴 글을 읽어보라. 삶을 살면서 마음고생했던 것들이 고스란히 시에 묻어있다.
그들이 시를 남기고, 이야기하면서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자존감을 살릴 수 있을까 하는 교사의 고민이 담겨져 있다.

특성화고교생 대상 대입사이트를 운영해보면서 만나본 학생들의 모습엔 자존감 부족의 느낌이 적잖이 느껴졌다.
왠지 무시를 당하는 것 같고, 그들을 문제아로 바라보는 듯한 사회의 눈초리로 인해 움츠러든 모습을 보곤 했다.
이들에게 세상을 향해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한 교사에게 아낌없는 찬사를 보낸다.
최소한 그들에게 세상에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기 때문이다.